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모음

현충일이란? 아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 태극기 다는 방법!

by 승승정보통 2025. 3. 8.

현충일이란? 아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설명!

현충일 태극기

 

현충일(顯忠日, Memorial Day)은?

 

나라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날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해, 전쟁이나 여러 사건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기리는 시간을 가져요.

이 날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과 경찰, 애국지사 등을 추모하는 날이랍니다.

 

1. 현충일은 왜 6월 6일일까?

아이들이 궁금해할 수 있는 질문 중 하나가 "왜 하필 6월 6일일까?"예요.

현충일이 6월 6일인 이유는 6이라는 숫자가 '충(忠)'과 발음이 비슷해서이고, 6월은 전쟁이 많았던 시기이기도 해요.

6.25 전쟁(1950년)도 6월에 시작되었고, 예전 삼국시대나 조선시대에도 많은 전투가 6월경에 있었다고 해요.

그래서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리는 의미로 6월 6일을 현충일로 정하게 되었어요

우리 아이들에게 쉽게 설명해 주자고요~

 

 

2. 현충일에는 어떤 일을 할까?

현충일에는 다양한 추모 행사가 열려요. 

 

① 태극기 조기 게양 현충일에는 집집마다 태극기를 조기(弔旗)로 게양해요.

조기 게양이란? 태극기를 꼭대기까지 올리지 않고, 조금 내려서 다는 것을 말해요. 왜 조기로 달까?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리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예요.

 

② 묵념의 시간 (오전 10시) 현충일 오전 10시가 되면, 전국에서 1분간 묵념을 해요. 이 시간에는 자동차도 멈추고, 사람들이 고개를 숙여 조용히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우리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 감사합니다."라고 마음속으로 인사하면 된답니다.

 

③ 국립현충원 행사

현충일에는 서울 국립현충원에서 기념식이 열려요.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들, 유가족, 군인들이 모여서 추모 행사를 해요.

*헌화와 분향(꽃을 바치고 향을 피우는 것)* 하며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립니다.

 

3. 현충일과 비슷한 다른 나라의 기념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비슷한 날이 있어요.

 

미국: 메모리얼 데이(Memorial Day) - 5월 마지막 월요일

영국: 리멤브런스 데이(Remembrance Day) - 11월 11일

중국: 청명절(Qingming Festival) - 4월 4일 또는 5일

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리는 날을 정해두고 있어요.

 

4. 현충일이 왜 중요할까?

현충일은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 자유롭고 평화로운 나라를 만들어주신 분들에게 감사하는 날이에요. 우리가 편하게 학교에 가고, 친구들과 놀고, 가족과 행복하게 지낼 수 있는 것도 모두 나라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분들 덕분이에요.

이 날을 통해 아이들이 역사를 배우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키울 수 있으면 좋겠어요.

태극기

5. 현충일에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활동

아이들에게 현충일의 의미를 쉽게 가르쳐 줄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① 현충일 동화나 영상 보기

아이들에게 맞는 동화책이나 유튜브 영상을 함께 보면서 이야기해 주세요.

추천 영상: 뽀뽀뽀 좋아 좋아 '현충일이 뭐예요..?'

                   토모노트 '현충일은 어떤 날일까?'

 

② 국립현충원이나 전쟁기념관 방문하기

서울 국립현충원, 대전 현충원, 전쟁기념관을 방문해요. 헌화하고, 나라를 위해 희생한 분들에게 감사 인사를 해봐요.

③ 태극기 그리기 & 색칠하기

태극기를 직접 그려보면서 "이 태극기는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에게 바치는 감사의 표시야."라고 이야기해 주세요.

색칠한 태극기를 집에 붙여두면 더욱 뜻깊은 현충일이 될 거예요. 

 

6. 현충일에 태극기 다는 법!

 현충일(6월 6일)에는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태극기를 조기로 게양하는 날이야! 조기(弔旗)란, 태극기를 깃대 맨 꼭대기까지 올리지 않고 조금 내려서 다는 것을 말해요!

 

언제 태극기를 달아야 할까?

📢 태극기는 아침 7시부터 저녁 6시까지 달아야 해요!

🌙 밤에도 태극기를 달아두려면? ✨ 조명을 비춰주는 센스!

 

태극기, 이렇게 달면 딱 좋아요!

💖 조기(弔旗) 게양법이란?

태극기를 깃대의 3분의 1쯤 내려서 다는 게 정말 중요해요!  별 세 개!! 🌟🌟🌟

 

🏡 가정에서 태극기 다는 법

✔️ 깃대가 있다면 3분의 1 내려서 조기로!

✔️ 깃대가 없다면? 창문이나 베란다에 예쁘게 걸어주기!

✔️ 바깥에서 볼 때 왼쪽 끝부분에 걸어주면 완벽해! 🌟

 

🏢 학교, 회사, 공공기관에서는?

✔️ 깃대가 있다면? 일단 끝까지 올렸다가 3분의 1 내려서 고정!

✔️ 깃대가 여러 개라면? 태극기를 중앙에 놓고 다른 기 들은 좌우에 배치!

 

💡 태극기를 왜 조기로 다는 걸까?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애도하는 의미가 있어요!

평소 국경일(삼일절, 광복절 등)에는 태극기를 꼭대기까지 올려서 다는데, 현충일에는 조기로 달아야 해요!

 

🌙태극기 언제 내리고, 어떻게 보관할까요?

🕕 저녁 6시 이후에는 태극기를 내려야 해요.

 

태극기를 보관할 때는?

✔️ 깨끗하게 접어서 보관하기!

✔️ 너무 낡거나 찢어지면 주민센터에서 새 걸로 바꿀 수 있어요!

🎯 한눈에 쏙! 태극기 다는 법 정리!

✅ 게양 시간: 오전 7시 ~ 오후 6시

✅ 게양 위치: 깃대가 있다면 3분의 1 내려서 조기로 달고, 깃대가 없으면 창문이나 베란다에 바르게 걸기!

✅ 철거 시간: 저녁 6시 이후!

✅ 보관법: 깨끗하게 접어서 보관! 훼손 시 주민센터에서 교환 가능해요! 🌟

 

 

현충일

단순한 공휴일이 아니라,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을 기리고 감사하는 날이에요.

6월 6일마다 태극기를 조기로 게양하고, 오전 10시에 묵념을 한답니다.

 

현충원이나 전쟁기념관을 방문하면, 현충일의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어요.

저는 아이들에게 현충일을 쉽게 알려주고, 감사하는 마음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우리가 누리는 평화로운 일상은 많은 분들의 희생 덕분이라는 것을 잊지 말고,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보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