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모음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구리 가격 상승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두가지 시나리오! 긍정적일까 부정적일까?

by 승승정보통 2025. 4. 1.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구리 가격 상승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 있어요. 
그런데 "반도체 매출이 증가한다"는 주장은 특정한 조건에서 가능한데요!
어떻게 그런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 살펴볼까요!

구리 가격 상승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두 가지 시나리오!

 

1️⃣ 부정적 영향: 원가 상승 → 마진 압박

반도체 제조에서 구리는 칩 내부 회로, 패키징, 웨이퍼 공정 등에 사용돼요.
원자재 가격 상승은 제조 원가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요.
이 경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업체는 **수익성 악화(영업이익 감소)**를 겪을 수 있어요.
 
2️⃣ 긍정적 영향: 반도체 가격 상승 → 매출 증가
하지만 구리 가격 상승이 반도체 가격 인상을 유도하면, 매출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어요. 어떻게?
 
(1) 생산 비용 증가 → 제품 가격 상승 → 반도체 매출 증가
원가가 올라가면 반도체 가격도 오를 가능성이 큼.
고객사(애플, 테슬라, 데이터센터 등)가 반도체를 계속 구매해야 한다면, 매출이 증가할 수도 있음.
 
(2) 공급망 불안으로 인한 수요 증가
구리 가격 상승은 반도체 공급망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만약 일부 업체들이 원가 부담으로 생산을 줄이면, 반도체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공급 부족은 반도체 가격을 끌어올리고, 결국 매출 증대로 이어질 수 있어요.
 
(3) 반도체 수요 자체가 강한 경우
AI 반도체,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전기차용 반도체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요.
만약 구리 가격 상승에도 반도체 수요가 강하게 유지된다면, 매출 증가 가능성이 더 커짐.
 
결론: 수익성은 악화될 수도 있지만, 매출은 증가할 가능성 있음
구리 가격 상승이 제조 원가를 높이긴 하지만, 반도체 가격이 함께 오르면 매출은 늘어날 가능성이 있음.
특히 AI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시장에서는 비싸도 사야 하는 제품이 많기 때문에 가격 상승효과가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
하지만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영업이익률(수익성)은 악화될 가능성이 있음.

투자 관점에서 볼 때는?

반도체 매출 증가 가능성이 있다면, 주가는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도 있음.
하지만 원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 주가는 흔들릴 수도 있음.
단기적으로는 원가 부담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반도체 가격 상승이 가능하다면 수익성도 회복될 수 있음.
 
결국, 반도체 기업이 비용 증가분을 얼마나 가격에 반영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에요.

 
구리 가격 상승이 건설·인프라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가능성이 커요.
왜 그런지 하나씩 살펴볼게요!

 

1. 건설 원가 상승 → 프로젝트 비용 증가

구리는 전기 배선, 배관, 냉난방 시스템, 통신망 구축 등에 필수적인 원자재야.
구리 가격이 오르면 건설 자재 비용이 증가하고, 건설 원가가 상승하게 돼.
특히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도로, 철도, 지하철, 발전소 등)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이 전체 공사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결과: 건설사 이익률 감소, 프로젝트 지연 가능성 증가 🚧

 

2. 부동산 개발 비용 증가 → 분양가 상승 압력

건설사들은 아파트, 오피스, 상업용 건물 건설 시,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면 분양가를 올려야 손해를 보지 않음.
하지만 고금리 상황에서는 이미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어 있기 때문에, 분양가를 올리는 게 쉽지 않음.
👉 결과: 건설사 부담 증가, 부동산 경기 위축 가능성 🏗️
 

3. 정부 인프라 투자 영향: 예산 부담 증가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철도, 도로, 신도시, 공공주택, 전력망 구축 사업에서도 구리 가격 상승은 공사 비용 증가로 이어져.
정부는 한정된 예산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오르면 일부 사업이 축소되거나 지연될 가능성도 있어.
특히 전기·통신 인프라가 많이 필요한 스마트시티, 데이터센터,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프로젝트 등에 타격이 클 수 있음.
👉 결과: 일부 공공 프로젝트 축소·지연 가능성
 

4. 일부 기업은 가격 전가 가능 → 건설 자재·전선 업체는 반사이익?

✅ (긍정적 시나리오)
원자재 가격 상승을 건축 비용에 반영할 수 있다면, 일부 건설사는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음.
또, 구리를 많이 쓰는 전선·전력설비 기업(LS ELECTRIC, 대한전선 등)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매출 증가 가능성도 있음.
구리 광산이나 비철금속 관련 기업도 수혜를 볼 수 있음.
❌ (부정적 시나리오)
하지만 수요 둔화가 동반되면, 가격을 전가하지 못하고 건설사들이 이익을 줄여야 할 수도 있음.
특히 건설경기가 이미 침체된 상태라면 구리 가격 상승은 부담 요인이 더 클 수밖에 없음.
 

결론: 건설·인프라 산업에는 악재, 하지만 일부 기업은 반사이익

●건설사 입장: 구리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 증가 → 분양가 인상 어렵다면 수익성 악화 📉
● 정부 인프라 투자: 예산 부담 증가로 일부 프로젝트 지연 가능성 🚧
● 반사이익 기업: LS ELECTRIC, 대한전선 같은 전선·전력설비 업체는 가격 상승효과로 매출 증가 가능성 📈
👉 즉, 건설사는 타격이 클 가능성이 크고, 전력·전선 관련 기업은 수혜를 볼 수도 있음.